본문 바로가기
재테크,경제,주식,부동산,보험,대출

전세자금대출의 조건과 종류

by 춤추는슈퍼맨 2025. 4. 17.
반응형

반응형

전세자금대출의 종류 및 조건

1.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(주택도시기금)

  • 대상: 무주택 세대주로서 연소득 5천만 원 이하(신혼부부는 6천만 원 이하)
  • 보증금 한도: 수도권 3억 원, 지방 2억 원 이하
  • 대출 한도: 최대 1억 2천만 원
  • 금리: 연 1.8%~2.4% (소득 및 보증금 규모에 따라 차등)
  • 취급 은행: 국민은행, 우리은행, 농협은행, 신한은행, 기업은행

2. 청년 전용 버팀목 전세자금대출

  • 대상: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단독세대주로서 연소득 5천만 원 이하
  • 보증금 한도: 수도권 3억 원, 지방 2억 원 이하
  • 대출 한도: 최대 7천만 원
  • 금리: 연 1.5%~2.1%
  • 취급 은행: 국민은행, 우리은행, 농협은행, 신한은행, 기업은행

3. 일반 전세자금대출 (은행 자체 상품)

  • 대상: 소득 제한 없음
  • 보증금 한도: 제한 없음
  • 대출 한도: 보증금의 80% 이내
  • 금리: 연 3.3%~4.8% (은행 및 신용도에 따라 차등)
  • 취급 은행: 카카오뱅크, 케이뱅크, 토스뱅크, 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 

💰 주요 은행별 전세자금대출 금리 비교 (2025년 3월 기준)

은행명평균 금리(%)
아이엠뱅크 3.26
카카오뱅크 3.52
케이뱅크 3.67
토스뱅크 3.68
부산은행 3.74
국민은행 3.82
경남은행 3.94
광주은행 3.99
기업은행 4.00
농협은행 4.04
신한은행 4.05
하나은행 4.19
우리은행 4.27
수협은행 4.81
전북은행 4.82

 


📝 참고사항

  • 대출 조건: 대출 한도 및 금리는 개인의 신용도, 소득, 보증금 규모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보증 기관: 일반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주택금융공사(HF)나 서울보증보험(SGI)의 보증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신청 방법: 각 은행의 영업점 방문 또는 인터넷·모바일 뱅킹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.
반응형